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물리계층
    NetWork 2021. 4. 27. 15:11

    네트워크 통신이 발생하기전에 로컬네트워크에 대한 물리적 연결이 설정되어있어야한다.

    이 연결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리계층은 이역할은 한다.

    물리계층은 세가지 기능으로 영역을 다룬다.

    1. 물리적 구성요소

    2. 부호화

    3. 시그널링

     

    1. 물리적 구성요소

    비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하드웨어 장치, 미디어 및 기타 커넥터이다.

     

    2.부호화

    부호화는 비트스트림을 네트워크 경로상의 다음장치에서 인식 할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시키는것 이다.

     

    3.시그널링

    시그널링은 전기, 광학, 무선신호를 나타내는 0 과 1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시그널링 방법은 사용 중인 매체에 따라 달라진다.

     

    왼쪽 상단부터 구리케이블, 무선을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광펄스의 신호형태이다

     

     

     

    대역폭

    대역폭은 매체가 데이터를 전달할수있는 최대 용량이다.

    흔히들 고속도로 차선에 비유한다.

    1초에 얼마나 많은 비트를 전송할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대역폭에서 쓰이는 용어

    Latency(지연시간)

    데이터가 특정 지점에서 다른지점으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지연된시간 포함)

    Troughput(처리량)

    주어진 시간 동안 미디어를 통한 비트 전송을 측정한 값

    Goodput

    주어진 시간 동안 전송된 데이터중 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측정한 값

    Goodput = Troughput - 트래픽 오버헤드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tocol  (0) 2021.04.27
    OSI 7계층 , TCP/IP 4계층  (0) 2021.04.27

    댓글

Designed by Tistory.